1. 사업 개요
본 사업은 전통 식문화와 현대 과학기술을 융합하여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에 효과적인 치유식(Healing Food)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종합 지원 사업입니다. 기초연구부터 상품 개발, 임상 검증, 상용화, 시장 진출까지 전 주기적 R&D 지원 체계를 통해 과학적으로 검증된 기능성 치유식품을 개발하고, 이를 지역 특화 산업으로 육성합니다.
특히 지역 농특산물과 전통 발효 기술, 한방 의학 지식 등을 활용하여 K-푸드의 치유 기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, 글로벌 웰니스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프리미엄 치유식품 브랜드를 창출합니다. 단순한 제품 개발을 넘어 농업-식품-바이오-의료 분야가 연계된 융합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달성합니다.
2. 사업 목적
① 과학 기반 치유식품 산업 육성
- 전통 식문화의 과학적 검증을 통한 기능성 치유식품 개발
- 개인 맞춤형 치유식 연구를 통한 정밀 영양학 기반 웰니스 산업 선도
-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품질 관리 체계 구축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 마련
② 지역 특화 산업 생태계 구축
- 지역 농특산물 활용을 통한 농가 소득 증대 및 6차 산업 활성화
-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지역 혁신 역량 강화
- 치유식 관련 기업 육성 및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한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
③ 국민 건강 증진 및 의료비 절감
- 예방 중심 헬스케어 패러다임 확산을 통한 국민 건강 수준 향상
- 만성질환 예방 및 면역력 강화 치유식품으로 의료비 절감 효과 창출
- 고령화 사회 대응을 위한 건강수명 연장 솔루션 제공
3. 주요 연구 내용
① 기능성 치유식품 연구개발
✅ 전통 식문화 기반 치유식품 발굴
- 한국 전통 발효식품: 김치, 된장, 고추장 등의 프로바이오틱스 효능 연구
- 약선 음식: 한약재와 식재료 조합의 시너지 효과 과학적 검증
- 지역 특산물: 산양삼, 더덕, 도라지, 고구마 등 지역별 특화 소재 기능성 분석
- 계절별 치유식: 24절기 맞춤 계절 치유식 레시피 개발 및 효능 검증
✅ 맞춤형 기능성 성분 연구
- 바이오액티브 컴파운드: 항산화, 항염, 면역조절 활성 성분 분리 및 정제
- 장내 미생물 조절: 프리바이오틱스, 프로바이오틱스, 신바이오틱스 개발
- 대사질환 개선: 당뇨, 고혈압, 고지혈증 개선 기능성 소재 연구
- 뇌 건강 증진: 인지 기능 향상 및 치매 예방 기능성 성분 개발
✅ 첨단 가공기술 및 전달시스템
- 나노 캡슐화: 기능성 성분의 안정성 및 생체 이용률 향상 기술
- 발효 최적화: 미생물 발효를 통한 기능성 대사물질 생산 기술
- 추출 정제 기술: 초임계 추출, 효소 처리 등 친환경 추출 기술
- 3D 프린팅: 개인 맞춤형 치유식품 온디맨드 생산 기술
② 임상 검증 및 안전성 평가
✅ 과학적 효능 검증 체계
- 세포 실험: in vitro 기능성 스크리닝 및 작용 메커니즘 규명
- 동물 실험: in vivo 효능 검증 및 독성 평가, 최적 섭취량 도출
- 인체 적용 시험: **무작위 대조 임상시험(RCT)**을 통한 인체 효능 입증
- 바오믹스 분석: 유전체, 단백체, 대사체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접근
✅ 안전성 및 품질 관리
- HACCP 시스템: 위해요소 중점관리 체계 구축 및 식품안전 확보
- 국제 인증: ISO 22000, FSSC 22000 등 국제 표준 인증 획득
- 영양성분 분석: 정확한 영양 정보 제공 및 표준화된 레시피 개발
- 저장 안정성: 유통기한 설정 및 포장재 최적화 연구
③ 상품화 및 브랜드 개발
✅ 제품 디자인 및 개발
- 소비자 니즈 분석: 타겟별 선호도 조사 및 시장 세분화 전략
- 제품 라인업: 연령별, 질환별, 라이프스타일별 맞춤형 제품군 개발
- 패키징 혁신: 편의성, 보존성, 친환경성을 고려한 스마트 패키징
- 브랜드 스토리텔링: 전통과 과학의 융합을 강조한 감성적 브랜딩
✅ 비즈니스 모델 개발
- 구독 서비스: 개인 건강 데이터 기반 맞춤형 치유식 정기 배송
- 헬스케어 연계: 병원, 약국, 헬스케어 기업과의 B2B 협력 모델
- 체험형 서비스: 치유식 카페, 쿠킹 클래스, 웰니스 투어 등 체험 비즈니스
- 디지털 플랫폼: AI 영양 상담, 식단 관리 앱,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
④ 시장 진출 및 마케팅 지원
✅ 국내 시장 진출 전략
- 유통 채널 다각화: 온라인, 오프라인, 홈쇼핑, 직판장 등 멀티 채널 전략
- 의료기관 연계: 병원 내 카페, 환자식 공급, 영양 상담 서비스 연계
- 기업 웰니스: 직장인 건강 관리 프로그램 및 단체급식 시장 진출
- 정부 정책 활용: 고령친화식품, 환자용 식품 등 정책 지원 사업 참여
✅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
- 수출 인증: FDA, EU, 일본 등 주요 국가 식품 인증 획득 지원
- 국제 마케팅: 글로벌 식품 박람회 참가 및 해외 바이어 연결
- 현지화 전략: 타겟 국가별 식문화 및 규제 환경 맞춤형 제품 개발
- K-푸드 브랜딩: 한국 전통 식문화의 글로벌 위상 제고 및 프리미엄화
⑤ 산업 생태계 구축 및 클러스터 조성
✅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
- 연구 컨소시엄: 대학, 연구소, 기업 간 공동 연구 체계 구축
- 기술 이전 센터: 연구 성과의 상용화 지원 및 기술 사업화 촉진
- 인력 양성: 치유식 전문가 양성 과정 및 자격 인증 체계 개발
- 국제 협력: 해외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 및 기술 교류
✅ 지역 특화 클러스터 조성
- 농업 연계: 계약 재배, GAP 인증, 친환경 농업 확산을 통한 원료 안정성 확보
- 가공 단지: 치유식 전문 가공 시설 및 공동 연구 장비 구축
- 유통 인프라: 콜드체인, 물류 센터, 전자상거래 플랫폼 구축
- 관광 연계: 치유식 체험, 농장 투어, 웰니스 관광 상품 개발
⑥ 정책 지원 및 제도 개선
✅ 규제 환경 개선
- 기능성 표시: 건강기능식품 인정 기준 완화 및 신속 심사 체계 구축
- 임상시험 간소화: 치유식품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임상시험 가이드라인
- 표준화 추진: 치유식품 정의 및 품질 표준 설정
- 지식재산권 보호: 전통 지식의 특허 출원 및 브랜드 보호 지원
✅ 금융 및 투자 지원
- 펀드 조성: 치유식 전문 투자 펀드 및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구축
- 정책 금융: 저금리 융자, 보증, 투자 등 단계별 금융 지원
- 세제 혜택: 연구개발비 세액공제 및 창업 기업 세제 지원
- 수출 지원: 수출 금융, 해외 마케팅, 통관 지원 등 수출